직접적으로 그에 대해서 들은 적은 없었다.
그 시작을 따라 간다면.. 이인화씨에 대한 지상 논란(벌써 십년도 훨씬 넘어버린)으로 인해서 듣게된 포스트모더니즘이 그 시작일듯 하다.
보르헤스는 중남미쪽 서반어 문학에서 알아주는 사람이라는 것. 신화나 우화를 절묘하게 환상적인 얘기들을 풀어간다는 정도가 내가 아는 전부다.
예전에 책을 빌려본적이 있긴 한데, 익숙치 않음에 대한 거부감인지 자주 접하지는 못했다.
아마도 이런건 나뿐만 아니였는지, 우회적인 우화로 그 자신이 의도한 소설이 있었고, 최근에 (특이하게 서로 다른 매체에서 같은 책을 소개하는걸 하루사이에 들었다) 그 소설에 대한 서평을 봤다.
오마이 뉴스에 소개된 보르헤스의 신간(?) 안내
“[이주의 오마이북] 보르헤스가 추리소설을 썼다고?“
Film 2.0에 소개된 보르헤스의 신간(?)